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내성적이어도 괜찮아! 회사생활 노하우 6

회사, 대학생활

by 이바우미디어 2021. 1. 21. 23:25

본문

흔히 사회생활을 잘 하는 타입으로 외향적인 성향이 꼽힌다. 커리어 전문가들이 입모야 조언하는 사회생활 팁도 잘 살펴보면 외향성과 맞다. 내성적인 성격 탓에 항상 직원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것 같고 인정받지 못하는 느낌마저 들 수 있다. 굳이 외향적으로 바뀌어야 할까?

내향적인 성향의 장점

사실 통계에 따르면 인구의 3분의 1은 내향적이다. 문제는 사회는 외향적인 사람을 선호하고 리더십이나 승진, 성공은 외향성과 어울린다는 고정관념이 있었다는 것. 내성적인 사람은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물론 외향적인 사람이 인맥이 더 넓을 수 있어 리더가 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하지만 내향적인 사람이 리더가 되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내성적인 사람을 위한 회사생활 꿀팁 6

빌 게이츠의 경우 스스로 내향적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오히려 내향적일 경우 관찰력과 집중력이 좋고 독립적이고 주체적이라는 장점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내향적 리더는 외향적 리더에 비해 직원들의 말을 잘 듣는다. 직원들의 잠재력 개발을 돕고 실천에 주력하는 장점이 있다.

 

성격을 바꿀 필요는 없다

당신이 절대 버리지 말아야 할 것에 따르면, 사회 전반적으로 외향성이 주도되지만, 내성적인 성격을 억지로 바꿀 필요는 없다. 일상에 어려움을 겪거나 대인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원인을 내향적인 성격 탓으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 외향적인 성격으로 바꾸려고 하고 내향적인 성격은 잘못으로 여기는 것은 문제다. 성격을 바꾸기보다는 내향성이 가진 장점을 파악하고 인정하자.

 

수치로 이야기한다

대단한 성과가 아니지만, 멋지게 잘 포장하는 이들이 있다. 다른 직원들의 수려한 말솜씨에 감탄이 나올 수밖에 없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이나 이룬 성과를 어떻게 포장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객관적인 수치나 팩트로 이야기한다. 가령 면접이나 연봉협상 자리에서도 매출액이 0000원 증가했다라는 식으로 수치를 이야기한다.   

 

혼자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가 확산된 상황은 내향적인 성격의 소유자에게 긍정적이다. 내향적인 사람은 혼자 있어야 심리적 에너지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특히 창의적인 작업이나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을 해야 할 때는 혼자 일하는 근무 환경이 필수다. 미국 버펄로 대학교의 한 연구팀은 고독이 창의성을 증진시킨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침묵할 권리가 있다

독일의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코르넬리아 토프는 저서 침묵이라는 무기를 통해 끊임없이 이야기하는 말 많은 상사를 대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했다. 허를 찌르고, 상대가 듣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코르넬리아 토프는 말이 많은 사람은 중간에 말을 끊으면 일차적으로 당황하기 마련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곧바로 칭찬을 하면 인정을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효과적이라고. 가령 본부장님, 아이디어가 너무 좋습니다. 저도 좀더 아이디어에 대해 고민해보고 싶습니다. 내일 오후에 간단하게 회의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라고 말하는 식이다.

 

‘경청’ 실력을 발휘한다


평소 자리에서 일할 때는 헤드폰이나 에어팟을 착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타인에게 지금 일에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며 크게 중요하지 않은 이들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내성적인 사람은 말을 많이 하는 게 어렵다. 그렇다면 잘 듣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미팅이나 회의에서는 다른 이들의 말을 집중해서 듣고 핵심이 되는 중요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야기에 최대한 집중하고 세심하게 경청하는 자세는 상대방에게 흥미롭고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것은 칭찬이나 마찬가지라는 것.

말하는 사람 쪽으로 약간 몸을 기울이고 적절히 고개를 끄덕이는 등 좀더 적극적인 표현을 하는 것도 추천한다. 경청하는 자세를 회식자리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특별히 말을 많이 하는 대신, 상대방의 말을 유심히 들으며 고개를 적당히 끄덕여보자. 

 

부끄러워도 주장은 펼친다

내성적인 사람 중에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 있다. 미국의 심리학 박사 제니퍼 엘리슨은 수줍음이 많은 성격은 회피성향이나 자존감이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줍음이나 부끄러움이 많은 성격이 타인에 비해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람들 앞에 나서기 힘들다면 내면의 심리적 장벽을 파악해야 한다. 많은 이야기는 할 필요가 없지만, 꼭 필요한 주장을 할 수 있도록 스스로 장벽을 뛰어넘을 필요가 있다.

 

사진=픽사베이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