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포츠 부상, 방치하면 후유증 남아…적절한 치료 필수

헬스, 다이어트

by 이바우미디어 2021. 6. 15. 13:23

본문

건강을 위해 시작한 운동이지만 자칫 부주의나 과도한 운동량으로 인해 오히려 관절 통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젊은 층은 활동량이 많고 스포츠를 즐기다가 자신의 관절범위를 벗어나는 동작이나 외부 자극을 통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인대나 근육, 관절 손상은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더 이상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없게 될 수 있기에 다친 뒤 적절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부상 후유증 없이 건강을 지키는 방법이다.

운동하다 삐끗, 그냥 참아도 괜찮을까?


스포츠 손상은 여러 관절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손상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인대 부상이다. “인대는 뼈와 뼈를 이어, 뼈들이 적절히 관절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조직으로 발목과 손목, 무릎, 어깨, 팔꿈치 관절에 붙은 인대는 뼈의 운동을 제어해 관절이 제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며 “한번 삐끗한 뒤 계속 같은 부위를 삐끗하듯, 인대의 경우 같은 부위의 손상이 계속 반복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다리를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할 때 발목 인대를 다치면 발목 움직임이 부자유스럽고 발목 주위가 갑자기 부어오르면서 통증이 생긴다. 축구, 농구 같은 격렬한 스포츠를 즐기다 넘어질 때는 무릎 십자인대 손상을 주의해야 한다. 무릎에서 ‘툭’하는 파열음이 들리거나 통증과 함께 무릎에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 상체를 많이 사용하는 수영과 구기종목은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서서히 어깨 인대가 손상이 되면 처음엔 경미한 통증으로 시작하지만 진행되면서 묵직한 통증과 결리는 느낌 등 특정 동작에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또 손목 스냅을 사용하는 운동을 하거나 운동 시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순간 다치기 쉬운 곳은 손목 인대다.



최근 야외에서 걷기, 등산, 조깅, 골프 등의 운동을 하다가 자신의 몸무게를 초과하는 힘으로 눌릴 수 있는 발목과 무릎을 다치는 경우가 많다. 발목은 큰 정강이뼈와 작은 정강이뼈 두 개와 발과 발목이 연결되는 발목 관절로 이루어져 있다. 관절 안쪽과 바깥쪽에 인대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에서 안쪽 인대는 비교적 튼튼해서 손상되는 경우가 드문데 바깥쪽 인대가 자주 손상을 입는다. 발목이 삐끗하거나 접질리는 발목염좌 상태가 반복되다 보면 인대 자체가 역할을 못하고 늘어나 발목이 약간 불안정하게 덜렁거리는 발목 불안증이 생긴다. 발목 불안증을 방치하면 계속 발목을 다치게 되어 발목 연골도 손상될 수 있다. 다행히 발목의 인대는 손상이 돼도 저절로 치유가 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처음 발목을 접질려 붓고 아플 때 발목 불안증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대처를 해주면 된다.

 

응급처치 와 치료


발목을 고정해 주고, 냉찜질을 하거나 발목을 심장 위치보다 높이 올리고 붓기를 잘 빼주면 인대가 늘어난 채로 붙지 않고 원래 제 길이대로 회복될 수 있다.


무릎에는 4개의 중요한 인대가 있는데, 이 중 십자인대는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십자인대 손상은 더 이상 스포츠 선수 위주로 발생하는 중상이 아니라 누구나 흔하게 당하는 부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무릎이 꺾이거나 비틀리게 되면 종종 끊어지게 되는데, 인대 손상을 조기에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를 튼튼하게 연결해 주지 못해 여러 방향으로 제멋대로 움직이게 된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관절 속에 출혈이 발생해 손상 부위가 붓고 관절이 불안정해 통증이 생긴다. 하지만 보통 2~3일이 지나면 통증이 사라지기 때문에 환자들은 일상생활에서는 불편한 점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치하다가 십자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연골판까지 동반 손상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퇴행성 관절염의 연령이 빨라지는 것도 이렇듯 스포츠 활동으로 인해 다친 무릎을 제때 치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운동을 하다 무릎을 심하게 다친 후 불안정한 느낌이 든다던가, 무릎이 어긋나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해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